[해열·소염 진통제, 혈전예방약] 아스피린 고용량 vs 저용량 (역사, 원리, 효능, 복용법, 주의사항, 부작용, 상호작용, 구조, 합성법)
본문 바로가기

약의 성분

[해열·소염 진통제, 혈전예방약] 아스피린 고용량 vs 저용량 (역사, 원리, 효능, 복용법, 주의사항, 부작용, 상호작용, 구조, 합성법)

 아스피린(aspirin)은 아세틸 살리실산(acetylsalic)이라고도 부르며 세계에서 최초로 합성된 해열·소염 진통제입니다. 고용량으로 사용할 시에는 진통제로 쓰이지만 아스피린의 약리작용때문에 저용량을 쓰면 혈전을 예방하는 약으로도 쓰일 수 있습니다. 아스피린이 저용량으로 쓰일 때와 고용량으로 쓰일 때를 비교하고 아스피린의 화학적 구조와 합성법까지도 알아보겠습니다.

 

역사

 먼저 아스피린의 역사를 살펴 보겠습니다. 아스피린은 최초의 진통제답게 기원전부터 그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 기원전 1550년경 이집트 파피루스에는 버드나무껍질을 치료제로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버드나무 껍질에 있는 살리실산이라는 성분이 진통·해열 효과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그래서 후에는 살리실산을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을 통해서 얻어내 사용했습니다, 그런데 이 살리실산은 위장장애 부작용이 너무 심했습니다. 그래서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독일 바이엘사의 펠릭스 호프만이라는 사람이 1897년에 살리실산을 약간 변형시켜서 만든 것이 아스피린입니다. 아스피린은 1899년부터 특허가 등록되어 판매가 시작됐고 지금도 전세계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약리작용 (약물이 생체에 미치는 작용, 약의 원리)

-고용량

 우리 몸에는 염증, 발열, 통증을 일으키는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PG)이라는 물질이 있습니다. 아스피린이 프로스타글란딘의 합성을 막아서 진통효과를 내는 것을 1971년 영국 약리학자 존 베인이 처음 밝혀냈습니다. 프로스타글란딘의 합성에는 사이클로옥시게나제(cyclooxygenase)라는 효소가 관여를 합니다. 아스피린은 사이클로옥시게나제-1,2(COX-1, COX-2)를 비가역적으로 억제해서 프로스타글란딘의 합성을 막습니다. 그러면 프로스타글란딘이 통증을 일으킬 수 없어 진통효과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이것이 고용량으로 쓸 때 주요한 약리작용입니다.

 

-저용량

 그렇다면 저용량으로 쓸 때는 어떻게 혈전생성을 억제하게 될까요? 이는 혈소판에도 COX-1(사이클로옥시게나제)효소가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이 저해되면 혈소판의 응집을 촉진하는 작용도 억제되기 때문에 혈전의 생성도 막을 수 있습니다.

 

효능 : 함량에 따라 효과가 다르다

-고용량

 해열, 소염, 진통작용에는 500mg정제를 사용합니다. 소염작용이 있어 관절염 등 퇴행성 관절질환이나 강직성 척추염에 사용되며, 해열작용이 있어 감기로 인한 발열에 사용됩니다. 또한 진통작용이 있어서 두통, 관절통, 근육통 등에 사용됩니다.

 

-저용량

 혈전생성 억제작용을 위해서는 100mg이하를 사용합니다. 100mg(또는 81mg, 75mg)인 정제나 캡슐제는 혈전생성을 억제하기 위해 심근경색, 뇌경색, 협심증이나 또는 CABG(관상동맥 우회로 이식술(Coronary Artery Bypass Graft surgery: 혈류량 회복을 위해 정상혈관을 연결하여 우회로를 만드는 수술), PTCA(관상동맥 성형술(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동맥경화로 인한 관동맥의 협착을 기계적으로 해체하는 수술)를 시행한 후에 사용됩니다. 또한 혈전이 생기기 쉬운 환자에게 심혈관계 위험성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복용법

-고용량

 해열, 진통, 소염작용을 위해서 성인의 경우 1회 0.5~1.5g씩, 1일 2~3회 복용하며, 환자의 상태에 따라 투여 용량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저용량

 혈전 예방 목적으로는 성인의 경우 100mg(또는 81mg, 75mg)을 하루 한 번 복용하며, 의사의 처방 없이 고용량을 복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복용 시간은 보통 위장관 출혈의 이상반응으로 인해 공복에 투여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위에서 녹지 않고 장에서 녹도록 한 용성 제제는 충분한 물과 함께 식전에 복용할 수 있습니다.

 

관련제품

-고용량

바이엘아스피린정 500mg(바이엘코리아) - 아스피린(aspirin) 500mg

등의 제품들

 

-저용량

보령바이오아스트릭스캡슐100mg(보령바이오파마) - 아스피린장용과립(Aspirin Enteric Gr.) 120.98mg

                                                                    (아스피린으로서 100mg)

한미아스피린장용정100mg(한미약품) - 아스피린(aspirin) 100mg 

등의 제품들

 

주의사항

매일 술을 세 잔 이상 정기적으로 마시는 사람이 아스피린을 복용하면 위장출혈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아스피린을 투여해서는 안 되는 환자들이 있습니다. 

• 소화성 궤양 환자나 아스피린 천식(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등에 의한 천식발작의 유발)이 있는 환자

• 혈우병 환자, 출혈 경향이 있는 환자

• 심한 간장애, 신장애, 심장 기능 부전 환자.

• 일주일 동안 메토트렉세이트 15 mg(15 mg/) 이상의 용량을 병용 투여하는 환자

• 임신 3기에 해당하는 임부

: 아스피린과 같은 프로스타글란딘 합성 저해제들은 태아의 심폐기관, 신기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임신 말기에 산모와 아이에서 출혈시간이 연장되고, 자궁 수축이 억제되어 분만시간이 연장 또는 지연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아스피린이 억제하는 프로스타글란딘의 기능 중에 자궁 수축과도 관련이 있기 때문입니다. 

• 수유부

: 아스피린은 모유로 이행되므로 투여하지 않습니다.

 

아스피린 투여를 주의해야 하는 환자들이 있습니다. 

• 임신 1기와 2기 환자

: 이 경우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아스피린 같은 살리실산 제제를 투여해서는 안 됩니다. 꼭 투여해야 할 경우에는 저용량으로 가능한 한 최소의 기간 동안만 복용해야 합니다.

• 고령자

: 이상반응이 나타나기 쉬우므로 아스피린의 투여를 소량부터 시작하고 환자의 상태를 관찰하면서 신중히 투여해야 합니다.

14세 이하의 소아

: 아스피린과 같은 살리실산 약물은 레이증후군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14세 이하의 소아에게는 신중히 투여해야 하며 특히 인플루엔자나 수두로 인한 발열에는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 이 외 신장애 환자, 간장애 환자, 심혈관 순환 기능/심장 기능 이상 환자, 혈액 이상 환자, 기관지천식 환자, 수술전의 환자, 3세 이하의 유아, 항응고제를 함께 투여하는 환자 등에는 신중하게 투여합니다.

 

- 고용량

• 만성질환(만성 관절류마티스, 변형성 관절증 등)에 장기간 투여하는 경우 정기적인 임상검사(요검사, 혈액검사, 간기능 검사 등)를 하고 이상이 있을 경우에는 용량을 줄이거나, 투여중지 등의 적절한 조치를 해야 합니다.

• 급성질환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급성염증, 통증 및 발열의 정도를 고려하여 투여하며, 원칙적으로 동일한 약물의 장기투여는 피합니다.

• 아스피린을 사용하는 동안 감염증을 발견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감염에 의한 염증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적절한 항균제를 사용하고 관찰을 충분히 하면서 신중히 투여해야 합니다.

 

- 저용량

저용량 아스피린은 혈소판 억제 작용으로 인해 출혈의 위험성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술(치과 수술 등의 간단한 수술 포함) 중 또는 수술 후 출혈 경향이 지속될 수 있기 때문에 담당의사에게 아스피린 제제를 복용하고 있음을 알리고 상담해야 합니다.

부작용

 아스피린은 살리실산으로 사용될 때부터 위장장애에 대한 부작용이 특히 많이 관찰되었습니다. 아스피린은 통증을 유발하는 프로스타글란딘을 막아 약의 효능을 보입니다. 그런데 프로스타글란딘은 그냥 통증을 유발하기만 하는게 아니라 위장관 점막상태를 유지하고 자궁을 수축하는 등의 생리 작용도 조절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위장장애 부작용은 프로스타글란딘의 위장관 점막상태를 유지하는 역할까지 저해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입니다. 

 

흔한 부작용(사용자의 10% 이상에서 보고)

• 과민반응(피부 발진이나 가려움, 천식, 기침, 호흡곤란 등)

• 위장질환(오심, 소화불량, 구토), 식후 위통증

• 귀울림

 

일반적 부작용(사용자의 1~10%에서 보고)

• 천식이나 기관지경련

• 비정상적인 출혈

 

드문 부작용(사용자의 1% 미만에서 보고)

• 토혈, 혈뇨, , 객혈, 검은 변

• 부종, 신장결석

상호작용

아스피린과 함께 투여시 상호작용을 일으키는 약물들이 있습니다. 

• 아스피린의 효과를 증가시켜 부작용 위험성을 증가시키는 약물 : 다른 혈전예방약, 혈전용해제, 지혈제, 당뇨병약, 일부 항우울약(SSRI :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계열일 경우), 알코올

• 아스피린의 효과를 감소시키는 약물 : 이부프로펜, 부신피질호르몬 제제 등

• 아스피린에 의해 부작용이 증가되는 약물 : 메토트렉세이트, 리튬제제, 다른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진통제(NSAIDs), 디곡신, 발프로산 등

• 아스피린에 의해 효과가 감소되는 약물 : 이뇨제, ACE 억제제등 일부 혈압약 종류

 

아스피린 복용 중에 술을 마실경우 부작용 위험성이 커지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그 외에도 기존에 먹고 있는 약이 있다면 무엇인지 알리고 아스피린과 같이 복용해도 괜찮은지 상담받아야 합니다. 

구조

 아스피린의 화학구조는 다음 그림과 같습니다. 육각형의 벤젠고리가 있고 1번 2번위치에 카복실기와 아세틸기가 치환기로 붙어있는 구조입니다. (이렇게 붙어있는 경우를 올소(ortho)위치라 합니다)

아스피린의 구조

합성법

 합성법에서 최종 아스피린 나오기 직전에 만들어지는 물질이 살리실산입니다. 살리실산은 벤젠고리에 카복실기(-COOH)와 하이드록시기(-OH)를 가지고 있습니다. 일단 처음부터 보면 벤젠에 하이드록시기(-OH)를 하나 가지고 있는 페놀(Phenol)에 Na염을 만듭니다. 그리고 이산화탄소가스를 이용한 Kolbe-Schmidt 반응을 합니다. 그 다음 생긴 생성물에서 Na염으로 살리실산을 만듭니다. 살리실산을 초산무수물과 반응하여 하이드록시기를 아세틸기로 바꾸먄 아스피린(아세틸살리실산)이 합성됩니다.